비즈니스이론/비즈니스마케팅 (193) 썸네일형 리스트형 3단계 - 해결대안 모색 문제는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해결방안은 다음 4가지의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활용한다. 시스템적 사고에 근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① 시스템의 패러다임을 바꾸면 해결방안이 보인다. 선도자는 패러다임을 바꾸고 추.. 기업의 경쟁력 약화의 현상과 원인 비즈니스에서는 문제발생은 곧 경쟁력 약화를 야기한다. 그리고 경쟁력 약화는 순식간에 급격히 표출된다. 파산한 기업을 살펴보면, 대부분은 1~2사이에 사업성과가 급격히 하락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비즈니스의 경쟁력 급감현상의 6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경쟁력이 급.. 원인규명의 인과관계 문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원인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Causality)를 설정하는 것이다. 문제와 원인 사이에 인과관계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3가지 조건이 성립되어야 한다. 이것은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은 아니다. 즉, 3가지 조건이 다 갖춰져 있다고 해서 반드시 인과관계가 성립되는 것.. 2단계-원인규명 원인을 명확히 밝히는 것이 '원인규명'이다. 원인 규명이 쉽다면 문제해결에 도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원인규명이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다. ① 원인을 찾아야 문제해결 방안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 해결은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고, 원인 규명은 목표달성을 위.. 문제의 조건 문제 발견은 측정과 판단 2개의 절차로 이루어지는 일조의 평가(Evaluation)이다. 평가에 따라 측정값의 좋고 나쁨(Good or Bad), 옳거나 그름(Right or Wrong)을 판단하기 위해 포닉(PONIC) 모델을 사용한다. 구분 내용 예시 Past (과거와 비교) 과거의 실측치와 비교한다. 과거에 비해 낮아지면 문제가 .. 문제의 정확한 발견 문제는 정확하게 발견되어야 한다. ① 중요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하는 것이다. ② 중요하지 않는 것을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는 오류가 있다. 왜 사람들은 충분한 정보를 보면서도 주요한 문제를 별 문제가 아닌 것으로 파악할까? 또, 중요하지 않는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할까? ① 부적절.. 1단계-문제의 발견 문제해결의 5단계 프로세스 중, 첫 번째 중요한 것은 문제를 발견하는 것이다. 문제의 유형에는 적합한 문제(Right Problems), 난해한 문제(Wicked Problems)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문제발견과 신속한 문제발견은 문제해결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장에서는 문제발견.. 맥킨지(Mckinsey) 문제해결 프로세스 7단계 맥킨지의 7단계 프로세스는 MECE에 의한 문제분할과 가설지향적 사고를 채택하고 있다. 그래서 문제원인에 대하여 깊은 비중을 비중을 두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해결방안으로 창의적 방안수립 보다 현장을 중심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통합해서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수.. 이전 1 ··· 5 6 7 8 9 10 11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