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이론/비즈니스마케팅

3단계 - 해결대안 모색



문제는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해결방안은 다음 4가지의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활용한다.


시스템적 사고에 근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시스템의 패러다임을 바꾸면 해결방안이 보인다.

선도자는 패러다임을 바꾸고 추종자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적응한다. 선도자의 패러다임 변화가 성공할 확률은 1%에 지나지 않지만 성공한다면 그 성과는 1000배에 이른다. High Risk - High Return 유형의 해결방안에 속한다. 

예) 내 미용실에 사람이 오지 않는다면 미용실을 사람들이 즐기는 장소로 바꾼다. 고객이 돈을 지불하는 곳에서 고객에게 돈을 지불하는 곳으로 바꾼다. 


문제 현산보다 원인에 집중한다.

문제의 표면적 현상에 집중하다 보면 궁극적으로 사태를 앗화시킬 수 있다. 잘못된 해결 방법으로 우는 아이에게 떡주기 등


주요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점검한다.

이해관계자(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략적 시각으로 조명한다. 구성요소의 반응에 따라 변화의 속도와 방향을 유연하게 조정한다. 


절차적 타당성을 중시한다. 

이해관계자(구성요소)를 파악하고 상호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략적 시각으로 조명한다. 구성요소의 반응에 따라 변화의 속도와 방향을 유연하게 조정한다. 절차적 타당성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는 동일한 문제 발생시 재적용이 가능하며 사적인 가치판단의 개입을 억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일시적인 열정에 의지하지 않는다.

해결은 일시적인 조치가 되어서는 안된다. 해결방안이 하나의 시스템적으로 정착되어야 한다. 감정에 의한 해결방안은 일시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지속되지 않는다. 일관성과 지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창의적 아이디어는 참신한 해결방법을 제시한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패에 대한 공포에서 벗어나야 하고 다양한 관점에서의 지적 자극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끊임없이 도전하며 보통 사람이 하기 힘든 다양한 시각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것이다.


창의적 아이디어를 끌어내기 위해 이용하는 촉진기법(Facilitation) 기법들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 브레인라이팅(Brain writing), 스캠퍼(Scamper), 열거법(Listing), 시네틱스(Synectics), 고든기법(Gordon), 가상상황설정법, 악역연출(Devil's advocates playing), 역활전환(Role casting), 미래관점에서의 조명(Back casting), 강제연관(Forced association)등이 있다. 




'비즈니스이론 > 비즈니스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가자의 심리적 함정  (0) 2017.12.26
4단계 - 최적안의 선택  (0) 2017.12.22
기업의 경쟁력 약화의 현상과 원인   (0) 2017.12.20
원인규명의 인과관계  (0) 2017.12.19
2단계-원인규명  (0) 2017.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