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경영/산업지식

미용실 현황과 특징, 미용실 창업의 현주소

한국 미용실 현주소를 알아 보자. 프랜차이즈와 공동브랜드, 독립브랜드들로 이루어진 미용시장의 특징과 발전방향을 예측해 본다. 미용실 창업자들은 날로 늘어나고, 서비스 요금과 손익구조는 열악하고 대형화에 따른 양극화는 심화되고 있는 미용실. 어떤 해답을 찾을 수 있을까?


경기 불황의 여파로 2012년 한해도 많은 미용실들이 문을 닫았지만, 적은 창업자금으로 어느 지역에나 입점할 수 있는 업종이라 많은 미용실들이 생겨나기도 했다. 조기 은퇴 등 영향으로 자영업자 수가 늘면서 생활밀집지역에서의 업종 창업자 수 33만 명 중 약9,000명(약2%)이 미용실 창업을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모 신용평가회사의 상권정보사업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11월부터 1년간의 미용실 매장 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미용실 매장 수는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10월 기준 전국 미용실은 44,397곳이며(남성 미용실 제외), 전체 업종 가운데 일반 한식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이다. 미용서비스업의 업종 밀집도는 78.6%로 인구 600명당 매장 하나가 있는 셈이다. 미용실은 넓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재료비 부담이 크지 않으며 그린 2종 이상의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 모든곳에 입점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미용실 창업이 많은 시기는 일반적으로 3월과 9월에 많다. 여성 고객의 수요가 많은 봄과 가을에 맞춰 이뤄진다. 3월은 점포수가 늘고 매출도 함께 늘어나는 양상을 보이면서 업종 경기가 좋은 시기로 분석되며, 7월은 평균 매출이 가장 높은 시기로 나타났다. 그리고 11월과 12월은 매출이 일반적으로 감소하는 시기다. 

고객들의 미용실 방문은 주로 토요일에 미용실 가는 것을 선호하며, 화요일은 많이 피한다. 이는 화요일이 중소형 미용실이 휴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보통 10시부터 2시까지 손님이 가장 많은 시기며 3~5시까지는 손님이 없는 시간대다. 
 
전국 미용실의 월 평균 매출은 지난 10월 기준 약 712만원으로 조사됐다. 매출 상위 5%의 평균매출이 월 3,100만원인데 비해 매출 하위 5%의 평균 매출이 128만원으로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시 미용실의 월평균 매출이 95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중소기업 소상공인 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월평균 수익이 100만원이하인 곳은 전체 57.6% 이며 약 81%는 200만원 이하의 수입을 가진다고 보고도고 있다.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매출은 이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업체별 지점간 평균 최소거리를 산출한 결과, 여성 미용실의 경우 프랜차이즈 지점이 1,286개로 전체 2.2%밖에 차지하지 않았으나, 월 매출은 평균 3,043만원으로 나머지 97.8%인 5,8226개 일반 미용실의 평균 271만원보다 10배 넘었다. 그러나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경우, 적정 규모의 공간확보, 본사 가맹비와 교육비, 기타비용을 선입금해야 하고 본사 제공 물품을 공급받아야 하며, 인테리어 및 시설비 등의 비용과 매달 내는 높은 관리 로열티 등을 감안할 때 매출이 높은 만큼 수익은 높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2012년 11월 행정안전부가 조사한 지역별 커트 미용실 평균 시술가격 내역이다. 서울의 경우 16,000원에 가까우나 지역에는 보통 12,000원정도의 평균요금을 보여주고 있다. 미용경영컨설턴트협회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실제 미용실이 적정 수익을 남기기 위해서는 한시간 서비스 요금은 약 40,000원을 받아야 하고 객단가는 48,000원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산출 기준은 1인 1개점 평균 고객과 디자이너 임금을 기준으로 산출된 값이다.


미용서비스 시술요금은 각 업소나 브랜드, 지역마다 편차가 크지만 행정안전부가 제공한 2012년 11월 전체시도 개인서비스 평균요금 자료에 따르면 커트 요금은 남성의 경우 충남이 11,200원으로 가장 높고 대구가 9,000원으로 가장 낮았다. 서울은 10,727원이다. 여성 커트 요금은 서울이 15,727원으로 가장 높고 충남이 가장 낮은 9,857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내년 2013년 1월31일부터 모든 이․미용업소의 최종지불요금표 옥외 게시가 의무화된다.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가 소비자의 업소 선택 및 서비스가격에 대한 편의 제고를 위하여 그동안 시범 운영되었던 이ㆍ미용실의 서비스별 최종지불요금을 게시하도록 하는 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을 2013년 1월3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힌 것이다. 

이에 따라 영업장 신고면적 66㎡(20평)이상 업소는 재료비, 봉사료, 부가가치세 등을 포함하여 소비자가 지불하는 최종가격인 최종지불요금표를 손님이 보기 쉬운 곳에 게시 또는 부착해야 한다. 특히, 영업장 신고면적 66㎡ 이상 이‧미용업소의 경우에는 옥외에도 게시하여야 하며, 게시품목은 이용 업소는 3개 이상, 미용업소는 5개 이상을 게시하여야 한다. 옥외가격게시 의무 위반 시에는 개선명령이 부과되며, 개선명령 위반 시 위반행위의 정도, 위반횟수 등을 고려하여 과태료(50∼150만원)가 부과된다.
 
미용실은 비교적 적은 투자비(대형 프랜차이즈 제외)를 들여 창업할 수 있고, 혼자서도 운영이 가능한 업종이라 많은 사람들이 미용실 창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헤어디자이너 개인 역량에 따라 서비스 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인력 관리에 쏟는 시간이 다른 업종에 비해 높은 편이다. 또한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고객 관리에 쏟는 시간과 노력 역시 다른 외식업과 판매업보다 2배 이상 높다.
 
이렇듯 고객관리, 인력관리, 교육, 홍보, 마케팅 등 미용실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들을 원장 혼자서 책임지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중소형 미용실들은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문을 노크하게 된다. 하지만 프랜차이즈 미용실은 투자비 및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미용 프랜차이즈의 경우 간판만 프랜차이즈일 뿐 자립 경영을 해야 하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도 고려의 대상이다. 이러한 대안으로 2011년 부터 미용실 공동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이미용 관련 브랜드 수는 60곳이며, 23,00여 점포(2011년 기준)가 등록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점포 수 가운데 5.2%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2012년 12월 기준, 가맹점 수로 살펴보면 여성 미용실의 경우 박승철헤어스투디오가 221개로 가장 많고, 리안헤어 197개, 이철헤어커커 195개, 이가자헤어비스 160개, 박준뷰티랩 158개 순이다. 또 준오헤어는 체인시스템이 아닌 직영시스템으로 82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며, 지난 1998년 등장한 남성 전용 미용실 블루클럽은 현재 388개의 가맹점을 운영 중이다.
 
2012년 미용 프랜차이즈 업계의 최대 화두는  대형 연예 기획사인 싸이더스HQ가 미용 프랜차이즈 시장에 ‘두쏠뷰티 by 싸이더스 HQ’라는 이름으로 뛰어든 것이다. 싸이더스는 이전에 카페베네와 지분 참여 방식으로 전략적 제휴를 맺은 적은 있지만 직접 법인을 설립해 유통업에 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 미용업계는 싸이더스의 등장에 긴장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자사의 소속 연예인들을 활용해 광고나 드라마 촬영 장소로 자연스럽게 노출함으로써 국내 고객은 물론 아시아권의 관광객들까지 끌어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향후 두쏠뷰티는 백화점과 대형마트 내 입점을 통해 가맹점 확장 전략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2013년 두쏠뷰티의 공격적 행보가 예상되는 가운데 기존 대형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은 매장 확장과 더불어 신규브랜드와 자체 PB 제품 론칭 등을 통해 기나긴 불황의 그늘을 벗어나고자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박승철헤어스투디오 계열사인 ㈜에이치엠코스메틱은 지난 가을, 미용실과 화장품 매장이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뷰티살롱 ‘바비헤어 &스토어’를 전 세계에서 최초로 론칭했다. 바비 인형으로 유명한 마텔사와 ‘Barbie’ 브랜드에 대한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한 ㈜에이치엠코스메틱은 소규모의 매장으로도 오픈이 가능하다. 또 전 매장 동일한 메뉴에 동일한 가격을 적용하고 LG 생활건강, 애경과의 제휴를 통해 합리적 가격의 제품을 판매하는 등 차별화된 운영전략으로 국내에서의 성공은 물론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도약을 자신했다.

이철헤어커커는 지난 6월 이마트가 오픈한 드럭스토어 분스 내에 토털 뷰티살롱 ‘두프리’를 론칭했다. 메이크업, 헤어 스타일링·스파, 네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간과 헤어·코스메틱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해 기존의 뷰티 살롱과 차별화를 꾀했다. 또한 11월에는 단순히 PB 브랜드가 아닌, 살롱의 스타일리스트가 사용하는 제품 그대로 고객이 셀프 스타일링을 할 수 있는 프리미엄 라인인 LC 프로페셔널을 론칭했다. 현재 백화점 입점을 준비 중이며, 베트남을 시작으로 수출의 물꼬도 튼 만큼 내년에는 30%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박준뷰티랩은 2012년 2월부터 군부대 안에 미용 프랜차이즈 사업을 시작했다. 14년 전부터 군부대 이발교육과 봉사 등으로 이발 문화를 개선하고, 군대문화 변화를 위해 애써왔던 박준 대표는 2012년 병영문화개선 위원단으로까지 위촉되기도 했다.

이밖에도 전국 197개 가맹점을 확보한 ㈜미창조 리안헤어는 올해 초 경기도 평택에 두피‧탈모센터숍 1호점을 오픈했으며, 업계 최초로 전 매장에서 사용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을 출시했다. 또 ‘보그(VOG)’라는 프랑스 프리미엄 살롱 브랜드 론칭을 통해 브랜드의 고급화에 전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올해 창립 40주년을 맞아 아카데미와 본사를 논현동 신사옥으로 이전한 이가자헤어비스는 해외시장 확대에 총력을 기울여 중국 대형 유통망인 데니스백화점에 직영점을 오픈했다. 또 대형마트 입점을 목표로 스파 브랜드 ’스파앤나’를 새롭게 론칭하여 매장 확보에 나서고 있다.

이렇듯 프랜차이즈들은 대형화 고급화 전략에 집중한다. 반면 이러한 틈 바구니 속에서 지역 중심의 소규모 중형급 미용실들이 공동브랜드로 돌파구를 찾고 있다. 바로 미용실 공동브랜드다. 지역중심의 공동 홍보 및 마케팅, 공동교육, 공동구매 등으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미용경영컨설턴트협회에서는 미용실 공동브랜드화는 점차 넓게 인식되고 규모도 급속히 성장해 나갈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단순히 공동브랜드가 몇몇 대표 브랜드로 발전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중심, 또는 서비스 중심, 철학 중심의 공동의 사안으로 묶은 그룹화 된 조직으로 발전되어 성숙해 나갈 것이라 전망했다. 

미용실 공동브랜드의 조직화 및 시스템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는 아이펠마르주식회사(대표 송팔용)는 2012년 서울경기 서남부지역 중심의 미용실 공동브랜드를 조직화하여 공동 상호 10개점과 독립상호 23개점을 공동브랜드 협의체를 만들어 직접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미용실 범위에서 벗어나 뷰티산업 전반으로 확대. 네일과 피부관리실의 공동브랜드 조직화 컨설팅을 수행,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모듈화된 공동브랜드 시스템으로 지역 특성과 문화를 같이 할 수 있는 조직으로 육성하고 지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송팔용 대표는 한국의 미래 미용서비스 산업의 발전은 이러한 미용실 공동브랜드가 얼마나 더 많이 생기고 체계화 되느냐에 따라 그 속도와 결과물이 현격한 차이를 보일 것이며, 미용인 스스로가 공동브랜드화를 통해 자신의 역량을 높이고 자립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한다.

미용실 창업과 경영컨설팅, 공동브랜드 조직화 컨설팅
아이펠마르주식회사 : 070-8778-9288
직접문의 : 010-2252-4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