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료실-경영/산업지식

뷰티(미용)서비스산업 발전(案)을 위한 대선 후보 의견을 보며

화장품 신문 뷰티누리에 기사가 낳다. 이번 대선 후보들의 한국 뷰티서비스 산업 육성책에 대한 의견이다. 화장품 산업과 서비스 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어떻게 고민하고 있는지. 특히, 뷰티서비스 산업의 업종에서 미용실과 피부관리실로 분류되어 있는 영업 현장의 매출, 손익, 인력 등의 사안에서 양극화 해소를 위한 방법을 어떻게 고민하고 있는지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의견을 받은 듯하다. 누구나 중소기업육성책을 언급하며 세제혜택과 금융지원을 실시하겠다고 한다. 그리고 박근혜 후보는 '소규모 뷰티숍의 산업육성을 위해서 미용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기와 범주, 규격 기준을 만련하고 뷰티산업진흥법 제정을 검토하겠다'한다. 문재인 후보는 '공동브랜드를 만들어 종사자 처우개선 및 제도적 지원과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한다.


하지만 두 후보가 낸 뷰티서비스 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에 대해 실제 얼마나 많은 고민을 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대한민국에서는 이해관계자의 거대 조직이 영업권 방어라는 측면에서 용어(언어)의 선택도 제한되고 자유롭지 못한 규제를 받는 곳 (피부미용의 경우 헬스케어, 경락, 맛사지 등)에서 산업 저변의 문제점을 정확히 인식하고 방안을 제시했는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물론, 그들이 육성책을 내어 놓지는 못했으리라. 뷰티관련 참모들의 의견에 입각하여 제시된 것이라 한계는 있을 수 있지만 행여 대선 후보 중 누군가 대통령이 된 다음에도 한국 뷰티서비스 산업의 문제에 대해 현상만을 보고 진단하지 말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 뷰티누리에서 대선 후보에게 보낸 질의 및 응답 내용 *


반면, 미용서비스 산업에 산재해 있는 조직(..회, ..소, ..체, ..원 등)들의 문제 해결 수준도 지적되어야 한다. 대부분이 정부의 정책에 기생하며 공존하려는 생리를 버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수년전 부터 시작되어 온 미용기기 문제에 대해 아직도 범주와 규격기준을 만들어 제시하지 못했다는 것, 이 문제를 정부에게 해결해 달라고 매달려 투정을 부리는 듯한 모습은 현 미용산업의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것이라 사료되며, 이것을 공약 으로 육성 및 활성화 방안(案)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에 부끄럽기까지 하다. 그리고 뷰티산업진흥법과 관련, 산업진흥법의 통과는 당연히 되어야 하나 내용에 있어 이해관계자들의 입장을 냉정히 단절하고, 단계별 중장기 계획에 착안되어 진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공동브랜드를 만들어 종사자 처우를 개선하겠다는 것에 아직도 공동브랜드 산업을 정부 주도하에 진행하려 한다는 시대착오적 발상을 한다는 것, 그렇게 하여 종사자들의 처우를 개선 시킬 수 있다는 기대(?)를 한다는 것. 이것은 산업의 자생력을 근절시키는 탁상행정의 논리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공동브랜드를 육성한다는 것은 맞을지 모르나 모든 사안을 정부가 주도하겠다는 것은 산업자체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 사료된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손익을 개선하여 경영자 및 업종 종사자들의 처우를 개선하겠다는 부분은 일정부분 인정 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격적 부분을 정부주도하에 책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왜 합리적인 가격이 필요한지 당사자들을 인식하게 하고 현업에서 실천하게 할 수 만 있다면 미용산업의 질적 향상이 가능하리라 사료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대선 후보들에게는 미용산업 종사자들이 행사할 한표 한표가 중요하기에 미용산업 유권자들에게 인기를 끌만한, 구미에 당길만한 육성책을 내어 놓는다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대통령이 된 이후 공약들을 이행하게 될 때, 현상만을 보고 판단하는 정책수행의 실수를 피하기를 바란다. 수 십년간 대한민국의 미용(뷰티)서비스산업의 발전은 상대적으로 늦었고 취약한 산업으로 분류되었다. 전체 약 93%가 년 매출 1억원 이하의 영세 소상공인들이다. 이들에게 단계적 역량 강화를 통해 자생력을 심어주는 것이 다음 정부가 뷰티서비스 산업 육성과 활성화에 중점을 두어야 할 내용이 아닌가 생각한다.



2012.12.15

미용경영컨설턴트협회

www.bmc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