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쥬얼적 사고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적이고 추상적인 생각의 흐름을 그림으로 표현함으로 이해하기 쉽고 기억하기 편리하게 만드는 모델링 기법이다. 로직트리(Logic Tree)도 일종의 비쥬얼 도구라고 할 수 있다. 비쥬얼적 사고는 문제의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보기 쉽게 마인드앱(Mind Map)을 작성한다. 이것은 탑다운(Top down)방식으로 단계별 구분에 의한 접근으로 시각화 할 수 있다.
① 1단계는 주제를 시각화 한다. 대분류에 의한 항목을 선정하고 중분류(Branch)를 나눈다.
② 2단계는 중분류의 시각화를 통해 제3자가 알기 쉽게 표현한다.
③ 3단계는 2단계의 중분류에 대해 소분류를 구분하여 시각화 한다.
긍정적 시각은 다음과 같다.
그림을 통해 간결하고 이해를 용이하게 한다. 백 마디말보다 한 장의 그림으로 핵심을 효과적으로 압축해 낸다. 전체의 시스템 구조를 이해하고 구성요소간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기업에서 프리젠테이션으로 플로(Flow)를 표현하고자 할 때 많이 사용한다.
부정적 시각은 다음과 같다.
언어의 Syntax and Semantic 체계로 강력한 표현력(Expressive Power)을 그림으로 모두 표현하거나 대처할 수 없다. 창발성으로 인하여 MECE의 원칙을 적용학기 어렵고 따라서 논리적 타당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 어떤 현상을 개략적, 실험적으로 탐구하는 Exploratory 탐구에는 적합하나, 원리와 명제를 구체적으로 검증하는 Comfimatory 분석에는 미달된다.
'비즈니스이론 > 비즈니스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의 조화와 균형 (0) | 2017.12.04 |
---|---|
시스템적 접근(Systems Approach) (0) | 2017.12.01 |
전략적 사고(Strategic Thinking) (0) | 2017.11.28 |
미시적 사고(MECE,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0) | 2017.11.27 |
가설 지향적 사고(Hypothesis Based Thinking) (0) | 2017.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