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이론/창업경영컨설팅

미용컨설팅 산업의 이해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는 컨설팅을 서비스산업으로 분류하여 '기타사업관련서비스업'에 포함시키고 있다.

'컨설팅'이란 고객의 요구에 의해 일정한 자격이나 능력을 가진 사람이 고객의 요청에 의한 목적 달성을 의한 목적 달성을 위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자문 및 지도의 역할과 문제 해결과 실행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독립적인 활동 행위를 뜻한다.


국제노동기구(ILO)는 컨설팅을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 경영, 업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기회를 발견, 포착하고 학습을 촉진하며,변화를 실현하는 관리자와 조직을 지원하는 독립적인 전문자문 서비스이다.' 라고 정의 하고있다.


컨설팅 분야는 우리사회가 가지고 잇는 각 분야의 활동영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컨설팅의 범위가 어디서 어디까지 인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과거 컨설팅의 범주는 진단, 자문, 상담과 같은 제 3자적 입장에 국한 되었지만 최근에는 제안, 지도, 공동작업의 영역으로 실행위주의 기능이 강화되었고 사후관리의 측면이 강조 되고 있다.


컨설팅에 있어 중요한것은 컨설팅을 수행하는 '사람'이다. 이러한 사람을 우리는 컨설턴트라 부른다.

즉, 컨설턴트는 컨설팅을 수행하는 '사람'이다. 서양에서는 병원에서 전문의 단계를 지나 상당한 현장 경험을 가지고 종합 진단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컨설턴트(consultant)라고 한다. 뷰티컨설턴트도 마찬가지다. 뷰티서비스 산업에서의 충분한 현장경험과 전문지식들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영업관리, 경영관리, 인사 및 재무관리 등에 대한 경험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정량화 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컨설턴트는 고용의 형테에 따라 독립컨설턴트와 고용(계약)컨설턴트로 구분되다. 만약, 컨설턴트가 회사에 속해 있다면 그 회사를 컨설턴시(consultancy)라고 하고 컨설팅의 업무를 컨설팅비즈니스, 컨설팅서비스라 한다.


특화된 컨설팅 기술 및 툴을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자영업 독립컨설턴트는 소상공인에 해당하지만 기능면에서 대형법인과 다를 바 없다.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컨설턴트는 최고경영자(CEO)로서 자금조달에서 마케팅, 홍보, 인적네트워크 형성, 영업활동과 같은 외부적 활동은 물론 인사관리, 자금관리, 프로젝트관리, 직무관리 등의 내부적 활동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독립컨설턴트의 경우 다양한지식과 높은 역량을 겸비해야만 능력을 인정 받는다. 최근에 컨설팅을 중심으로 융합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전문지식이 융합단계를 거치면서 예상치 못한 긍정적 결과물을 낳기 때문이다.


컨설팅은 업종이 다양해지고 경쟁관계가 복잡해 질수록 수요가 증가되는 직종이다. 뷰티서비스 산업에서는 타 산업에서보다 그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중장기적 측면에서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의 역량강화 및 경쟁력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뷰티컨설팅이 제시되기도 한다.



뷰티산업 비즈니스 컨설팅(송팔용 저. p40~41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