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이론 하면 떠오르는 유명한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혹 당신은 피터 드러커, 마이클 포터, 필립 코틀러처럼 경영 이론을 공부하고 그것이 자신의 사업체 경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가? 바로 알아야 하는 것은 이런 경영 이론이 그 자체로 어떤 역할도 해 낼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바로 조건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규모, 자금, 실현 가능성 등의 3가지에서 소상공인 또는 중소기업에 적합한지를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이들은 거대 기업의 경영에 조언을 하는 사람 피터 드러커, 마이클 포터, 필립 코틀러에 대해 알아본다.
미용경영컨설턴트협회(www.bmca.co.kr)는 미용산업의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여 한국 미용문화의 개선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마이클 포터 : 경쟁전략
경쟁전략에 대해 마이클 포터의 이론을 살펴본다. '경쟁전략'이라함은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들이 시장에서 이기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만약 경쟁자가 없다면 경쟁전략이 필요 없을 것이다. 마이클 포터는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5가지 위협요인을 이야기 하면서 이것을 시장진입 장벽이라고 한다. 이것을 극복하면 기업은 경쟁에서 이길 수 있고 시장에서 인정받아 성공경영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5-Forces Analysis Model, 일반적으로 거시적 환경 분석 기법으로 사용됨)
1. 기존 경쟁자의 위협
2. 신규 참여자의 위협
3. 대체 상품의 위협
4. 구매자의 구매력
5. 공급자의 교섭력
경쟁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시장에서의 역학관계를 분석하고 시장에서 가장 결정적인 요인을 발견하는 것에서 부터 출발한다.
1980년대 미국은 일본 기업들의 시장진출로 인해 국가 경제에 위협을 당하고 있었다. 미국은 내수업체들로 형성된 자동차, 가전제품에서 일본이 싼 가격으로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들어오게 된 것이다. 뒤이어 중국과 아시아 국가들도 가세하였다.
지금까지 성공에 안주해 있었던 미국 경영자들은 글로벌 시대에 맞는 새로운 경영이론을 원했고 그 때 하버드 대학교수였던 '마이클 포터'가 등장한 것이다.
마이클 포터는 경제 시장을 하나의 전쟁터로 보았다. 적들에게서 자신을 지키고 경쟁상대의 의도를 파악하여 선제공격을 취하는 군인처럼 시장에서도 동일한 행동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마이클 포터의 경쟁전략의 3가지 기본 이론을 제시하였다.
1. 비용적으로 압도적인 우위를 위한 '코스터 리서십(Cost Leadership)'
2. 상대의 약점을 공격하여 결정적인 장점을 만드는 '차별화 전략'
3. 시장의 역학관계를 변하게 하는 제품에 자본을 집중해서 승부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
상기 3가지의 전략 중, 어떤 것을 택할 것인지는 경영자의 '몫'이다.
기업은 기본 전략을 수립한 후, 경쟁 상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시장에서 장애가 되는 최대의 경쟁자와 잠재적인 경쟁자를 확인하고 왜 그 기업이 강한가? 약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어떤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가? 등을 철저하게 분석한다. 그리고 기업의 장기 목표, 시장에 대한 가설, 현재의 전략, 잠재적 능력 분석 등을 실시한다.
시장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구매 니즈(needs)에 따라야 한다. 경쟁사와 비교해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아니라면 다른 구매자를 찾는 신 시장을 개척하든지 다른 상품을 개발하여 구매자의 니즈를 끌어와야 한다.
* 마미클 포터 (Michael Porter)
마이클 유진 포터(Michael Eugene Porter)는 경영학과 경제학, 모니터 그룹(The Monitor Group, 컨설팅 업체)의 설립자. 현재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Bishop William Lawrence University Professor로 재직 중.
기업 경영 전략과 국가 경쟁력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마이클 포터의 연구는 전 세계 유수의 정부 기관과 기업, 비영리단체, 그리고 학계에서 널리 인용되고 있다.
또한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거대 기업의 신규 CEO를 위한 프로그램을 담당.
1969년 - 이학 학사, 프린스턴 대학교 항공 기계 공학 우등 졸업
1971년 - 경영학 석사, 하버드 경영대학원, 우등 졸업
1973년 - 경제학 박사, 하버드 대학교
마이클 포터는 18권의 책과 수많은 저서들을 남겼는데 여기에는 '경쟁 전략', '경쟁 우위', '국가 경쟁우위', '경쟁에 관하여'와 같은 걸작들도 포함된다.
한 해,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최고의 저술에 주어지는 맥킨지 어워드를 여섯 번이나 수상한 포터 교수는 현재 경영과 경제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영향력 있는 저술가이다.
마이클 포터의 핵심 분야는 경쟁과 기업 전략이다. 그의 아이디어와 작업들은 또한 경쟁력과 경제 성장, 도시 내(內) 공동체의 경제적 추락, 환경 정책,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에 대한 정의를 다시 내리게 했다.
그는 연구와 저술, 교육을 넘어 정부와 기업, 그리고 사회 운동 섹터의 컨설팅까지 영역을 넓혔다. 그는 캐터필러, 프록터 앤 갬블(P&G), Scotts Miracle-Gro, 로얄 더치 셸, 그리고 타이완 반도체와 같은 여러 세계적인 기업의 전략 어드바이저로 활동해 왔다.
포터 교수는 두 개의 공공 기관(Thermo Fisher Scientific, Parametric Technology Corporation)의 이사직을 역임했으며, 미국의 행정 수뇌부와 국회에의 미국 경제 정책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세계 여러 국가의 전략적 경제 정책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으며, 현재는 르완다와 대한민국의 대통령 특별 고문역을 수행중이다.
마이클 포터는 미국에서 세 개의 주요 비영리기구를 조직했다.
1. 1994년 Initiative for a Competitive Inner City ICIC
- 도시 내 낙후된 지역의 경제 발전을 도모함
2. The Center for Effective Philanthropy
- 사회 자선사업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현실적인 수단을 개발
3. FSG-Social Impact Advisors
- NGO와 기업, 그리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내는 재단들을 위한 비영리 전략 회사
포터의 가장 뛰어난 업적 중 하나는 기업에 대한 경쟁세력을 모형으로 단순화한 5-Forces Analysis Model이다. 포터의 전략 체계는 다음과 같은 주요 개념들을 포함한다.
Porter's Five Forces Analysis
전략 집단
가치 사슬
비용 관리의 일반 전략과 제품 차별화, 그리고 집중
다양성, 수요, 그리고 접근성 기반 마켓 포지셔닝 전략
국제 전략
국지적 경제 성장을 위한 포터 클러스터
다이아몬드 모형
* 포터의 저서
Porter, M.E. (1979) "How competitive forces shape strategy", Harvard business Review, March/April 1979.
Porter, M.E. (1980) Competitive Strategy, Free Press, New York, 1980.
Porter, M.E. (1985) Competitive Advantage, Free Press, New York, 1985.
Porter, M.E. (ed.) (1986) Competition in Global Industrie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1986.
Porter, M.E. (1987) "From Competitive Advantage to Corporate Strategy", Harvard Business Review, May/June 1987, pp 43-59.
Porter, M.E. (1996) "What is Strategy", Harvard Business Review, Nov/Dec 1996.
Porter, M.E. (1998) on Competition,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1998.
Porter, M.E. (1990, 1998)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Free Press, New York, 1990.
Porter, M.E. (1991) "Towards a Dynamic Theory of Strateg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2 (Winter Special Issue), pp. 95-117.
McGahan, A.M. & Porter, M.E. Porter. (1997) "How Much Does Industry Matter, Reall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8 (Summer Special Issue), pp. 15-30.
Porter, M.E. (2001) "Strategy and the Internet", Harvard Business Review, March 2001, pp. 62-78.
Porter, M.E. & Kramer, M.R. (2006) "Strategy and Society: The Link Between Competitive Advantag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rvard Business Review, December 2006, pp. 78-92.
Porter, M.E. & Teisberg, E.O. (2006) "Redefining Health Care: Creating Value-Based Competition on Results",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6.
* 컨설팅 문의 : 070-8778-9288 (직접문의 010-2252-4947)
COPYRIGHT@BEAUTYJAIN EifelMaar Inc. ALL RIGHTS RESERVED
'비즈니스이론 > 창업경영컨설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 해결 창의적 문제 해결 사고능력 (0) | 2012.05.10 |
---|---|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 지식경영 (0) | 2012.05.09 |
미시적사고 MECE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미시적 사고) 미용경영 컨설팅 (0) | 2012.05.01 |
미용실 컨설팅 보고서 2012.03.27 (0) | 2012.03.29 |
미용경영 미용컨설턴트 사실베이스적 사고기법(Fact based thinking)과 가설지향적 사고기법(Hypothesis based thinking) (0) | 2012.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