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이론/경영관리

주식회사의 구조와 회계의 역할 - 주식회사의 구조

 

주식회사의 구조

 

 

→ 회사는 어떻게 해서 세상에 흩어져 있는 돈을 모으는 거죠?

 

그럼 이제 주식회사가 돈을 모으는 구조를 살펴보자.
우선 회사의 소유권을 여러 개로 나누어야 한다.

 


→ 소유권이 뭐죠?

 

예를 들면, 지금 내가 입고 있는 옷은 내가 돈을 주고 산 것이므로 내 물건이다.
내 물건이니까 그것을 남에게 팔거나 쓰레기통에 버리는 것은 나의 자유이다.
이와 같이 "이것은 내 물건이다." 라는 권리를 소유권이라 한다.
주식회사의 경우에는 회사에 대한 소유권을 주식이라는 형태로 여러 개로 나눈다.

 


→ 소유권을 나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요?

 

예를 들어, 회사의 소유권을 10개의 주식을 나누었다고 가정해 보자.
이 10개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중에는 1개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고,
3개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회사의 소유자이므로 회사를 해산하는 일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그러한 결정은 가지고 있는 주식의 비율에 따라 다수결로 정한다.

 

 


→ 소유권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인데, 누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알죠?

 

주권이라는 증서를 주식의 증명서로 사용하여 주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주주로 간주한다.

여러 개로 나누어진 주식은 주권의 형태로 많은 사람들에게 팔리면서 제각각 거래된다.

이 주권을 구입한 사람은 주주가 되어 회사의 소유권의 일부를 소유하게 된다.

주주는 회사의 주인이므로 주주들이 모여서 회의하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회사의 경영에
대한 여러 가지 중요한 결정을 내리고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의 일부를 지급해 달라고 청구할
수 있다.

 


★ 회사의 소유권을 여러 개로 나눈 것을 주식이라 하고,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주주라
   한다. 주주는 회사의 주인이기 때문에 회사에 대한 중요한 일을 결정하고, 회사가 벌어들
   인 이익의 일부를 지급해 달라고 청구할 수 있다.

 

 

 

 

뷰티산업 공동브랜드 향장미용뷰티전문점 아이펠마르 (www.eifelmaar.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