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이론/경영관리

한국경제 실업난이 만든 프리터, 30~40대 '알바'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경제 실업난이 만든 프리터, 30~40대 '알바'가 증가하고 있다. 프리터란 무엇인가?

 

김범석(가명.42)씨는 주유소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꾸리고 있다.

2008년 실직한 뒤 2년째 청소년들이나 할 법한 일을 한다.

그는 매일 아침 8시 서울 관악구 신림동의 ㄱ주유소로 출근해, 저녁 7시까지 점심시간을 빼고 꼬박 10시간을 일한다.

야근 수당까지 합해 평균 4500원 정도를 받는다.

날이 갈수록 상황은 절박해지고 있다.

올해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딸아이 교육이 30만원, 식비 40만원, 통신비 10만원, 교통비 5만원, 각종 공과금 10만원...

김씨의 재산은 전세보증금 2000만원이 전부다.

"이제는 아무리 절약해도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 다른 일거리를 찾을 수도 없고..."

 

2년 이상 장기간 실업 상태에 있느 등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못한 30~40대가 200만명을 훌쩍 넘었다.

이들은 노동시장의 외곽에 존재하면서 임시직 노동(아르바이트)으로 생계를 잇고 있어 이른바 '프리터'라 불린다.

우리나라 프리터 실태를 처음으로 조사한 현대경제연구원은 장기실업자 외에도

△시간제, 비전형 근로자(파견, 용역, 재택, 일일)나 △비경제 활동인구 중 취업준비자도 프리터에 포함시키고 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 부가조사' 결과를 이런 기준으로 나누면,

30대 프리터는 2003년 8월 93만명에서 2009년 8월 110만명으로, 40대 프리터는 79만명에서 120만명으로 늘었다.

전체 프리터는 525만명으로 2008년에 견줘 45만명쯤 증가했다. (2009년 수치는 추정치)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서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는 배두성(가명,36)씨는 대학 졸업 뒤에도 취직을 못해 프리터로 눌러앉은 경우다.

"편의점 일이 단순노동이긴 하지만 줄곧 서 있어야 하고 손님이 몰릴 때는 정신이 없어 꽤 힘들어요"

배씨의 생활은'수입은 적지만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살아간다'는 일본식 프리터의 삶과는 거리가 한참 멀다.

그는 편의점 일이 끝나고 저녁 8시부터 새벽 1시까지 대리운전을 하며 밤거리를 다닌다.

하룻밤 많을 때 3만원 정도를 손에 쥔다.

그러나 그의 한 달 수입은 110만원 안팎에 불과하다.

"저와 비슷한 나이대에 이런 아르바이트를 하는 사람들은 많아요. 이들한테는 잘살아 보겠다는 목표의식이 더 이상 없는 것 같아요.

그냥 주저앉은 거죠."

배씨는 자신도 삶에 대한 자신감이 계속 줄고 있다고 했다.

 

향장미용뷰티전문점 아이펠마르 www.eifelmaar.co.kr